[뉴스프라임] 화물연대 내일 총파업 예고…"당정 협의 규탄"<br /><br /><br />화물연대본부가 내일 0시 총파업에 돌입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고 불법 행위 엄정 대처 원칙을 알렸지만, 물류 차질은 불가피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지난 15일 이후 정부와 화물연대는 교섭이 없는 상황, 파업 장기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구교훈 배화여대 국제무역물류학과 겸임교수와 이야기 나눠봅니다.<br /><br /> 화물연대 파업의 최대 쟁점은 올해 종료되는 '안전 운임제'인데, 일단 어떤 제도인지부터 설명해주세요.<br /><br /> 당정이 안전 운임제 3년 연장 방안을 내놓았는데, 화물연대는 당정의 대안은 반쪽짜리에 불과하다며 예정대로 내일(24일)부터 파업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화물 노조 측이 요구하는 건 뭔가요?<br /><br /> 일몰제를 폐지해 안전 운임제를 계속 운영하고, 대상 품목도 확대해 달라는 것이 화물연대의 요구인데, 당정은 시한을 3년 연장하되 품목 확대는 안 된다고 분명히 했습니다. 이유가 뭔가요?<br /><br /> 화물연대는 어제(22일) 성명을 내고 "안전 운임을 연장하면서 화주 책임은 삭제됐다"고 주장했습니다. 화주의 책임을 놓고도 당정과 화물연대가 이견을 보이고 있는데요?<br /><br /> 화물연대는 지난 6월에도 파업을 통해 안전 운임제 추진과 품목 확대 이행을 정부에 요구한 바 있는데, 이때 논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걸까요?<br /><br /> 화물연대 총파업 예고에 정부와 여당이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언급하면서도 '법과 원칙'을 내세운 강경 대응을 예고했습니다.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"운송 개시 명령까지도 발동하겠다"고 했는데요. 강대강 충돌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데요?<br /><br /> 화물연대 파업 시 철강과 시멘트, 석유화학 등의 물류 수송에도 막대한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인데, 이에 대한 대비는 이뤄지고 있나요?<br /><br /> 당정과 화물연대가 타협점을 찾을 여지는 없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